Notice: Trying to access array offset on value of type bool in /GCLOUD/theme/202503/_include/sub_title.php on line 6
약이 되는 밥상영양 만점! 건강한 도시락
약선 꽃김밥
3월은 봄기운을 만끽하기 위해 나들이 가는 사람들이 많아지는 때이다. 이런 봄나들이 도시락에 빠질 수 없는 대표적인 음식이 바로 김밥이다. 약선 꽃김밥은 기관지에 좋은 맥문동과 면역력 강화에 효과적인 황기가 들어가 있어 건강에 유익하다. 그뿐만 아니라 김밥 속 다양한 재료들이 만들어내는 다채로운 색감과 식감은 눈과 입을 즐겁게 한다.

진시황제가 찾던 불로초, 맥문동
여름철 그늘진 길가나 나무 아래에서 보라색 꽃이 피어난 모습을 흔히 보았을 것이다. 이 꽃의 이름이 바로 맥문동이다. 겨울에도 시들지 않고 푸른 잎을 띄고 있어 ‘맥문동(麥門冬)’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이러한 강인한 생명력 때문에 맥문동은 진시황이 찾던 불사초(不死草)로 여겨졌으며, <본초강목>에도 맥문동을 불사초라 기록하고 있다. <동의보감>에는 "맥문동은 천문동과 함께 모두 조병(燥病)1)을 치료한다. 달여서 먹거나 환을 만들어 오래 복용하면 좋다"라고 적혀있다.
이처럼 맥문동은 예로부터 폐와 기관지 질환 치료에 탁월한 약재로 알려져 왔다. 특히, 맥문동의 주요 성분인 사포닌(Saponin)의 한 종류인 오피오포고닌(Ophiopogonin)은 기침 억제와 감기로 인한 발열과 몸살을 치료하는 데도 효과적이다. 또한 맥문동은 혈중 콜레스테롤을 감소시켜 혈당 관리에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암세포의 발생과 성장을 억제하여 암 예방에도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외에도 심장박동을 강화하는 강심 작용과 위염, 위궤양 통증 완화, 골다공증 예방 등 다양한 효능을 지니고 있다.
맥문동 고르는 법
맥문동은 뿌리 곳곳에 형성된 작은 덩이뿌리를 약재로 사용한다. 품질이 좋은 맥문동은 표면이 깨끗하고 윤기가 나며, 알이 굵고 살이 많은 것이 특징이다. 또한, 겉면에 주름이 많거나 울퉁불퉁하고 끝부분이 뭉툭한 것이 국내산 맥문동으로 알려져 있다. 단, 맥문동의 심지 부분은 두통, 가슴 답답함, 불안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제거한 후 사용해야 한다.

- 재료 소개 (김밥 10줄 기준 분량)
-
- · 멥쌀 180g(1컵)
- · 황기 10g
- · 맥문동 20g
- · 깁밥용 김 10장
- · 시금치 100g
- · 당근 1개
- · 크래미 200g
- · 우엉 200g
- · 어묵 200g
- · 단무지(둥근모양) 500g
- · 빨간 파프리카 1개
- · 계란 20개
- · 밥 양념
-소금 1/2작은술
-참기름 1/2큰술
-깨소금 1/2작은술 - · 양념
-다진마늘, 간장, 설탕, 맛술, 식용유, 꽃소금, 다시마, 올리고당
조리 방법

1멥쌀은 씻어서 물에 불린 후 체에 밭쳐 둔 다음 황기와 맥문동과 함께 물 5컵을 넣고 약불에서 40분 정도 끓인다. 완성된 약선 밥에 소금, 깨소금, 참기름으로 간을 맞춘다.

2냄비에 물을 붓고 손질한 시금치를 넣는다. 물이 끓으면 소금을 넣어 시금치를 데친 후 찬물에 헹궈 물기를 짜 둔다.

3당근은 손질한 뒤 가늘게 채 썰어 소금에 절인 후 물기를 제거하고, 팬에 기름을 두르고 살짝 볶는다.

4우엉은 손질한 후 채 썰고, 어묵도 채 썰어 간장 양념에 졸여준다.

5크래미는 잘게 찢어주고, 단무지는 채 썬 다음 물기를 빼준다.

6빨간 파프리카도 채 썰어 씻은 다음 물기를 제거한다.

7계란은 흰자와 노른자로 나누어 지단을 부친 후 채 썰어준다.

8준비한 각각의 재료를 김밥용 김으로 말아준다.

9한 장의 김에 밥을 얇게 펴고, 준비한 속 재료 김말이를 올린 뒤 모양을 잡아 김밥을 말아 약선 꽃 김밥을 완성한다.
임나은 대구한의대학교 호텔외식조리베이커리학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