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배경 및 목적
한국에서 슬관절전치환술은 2016년 97,504회로 수행된 것으로 조사된 바 있으며, 2012년에 비해 28% 증가하여 평균 수명 연장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수술이다. 2016년 기준 슬관절전치환술으로 인한 건강보험급여 청구금액이 567억 이상에 이르고 있다. 시술받은 환자군은 70대가 48.6%, 60대가 36.2%일 정도로 노년기 환자들이 많다. 노인 환자가 오랜 슬관절염 유병후 슬관절전치환술을 받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수술 후 전신 기력 저하 및 늦은 회복 등이 있을 수 있으며, 통증이나 기능 회복이 원활하지 못한 경우가 있다. 슬관절전치환술 후 환자들에게 한방치료가 임상적 호전을 가져다줄 수 있으나, 일반 환자들에게 아직까지 잘 알려지지 않은 경우가 많다. 또한 아직까지 근거중심의학적 방법론을 활용한 슬관절전치환술 후 환자에 대한 한의임상진료지침이 개발된 적이 없었다.
슬관절전치환술후 환자의 치료에 있어 의과와 한의과 공통 목표는 수술 후 시기에 따라 환자를 진단 평가하여 통합의학적 수술후 치료를 시행하는 것에 있다. 슬관절전치환술후 환자의 치료목표는 증상 재발 예방 및 조기 통증 관리를 통한 삶의 질 향상, 수술 부위 기능의 완전한 회복, 환자의 삶의 질에 대한 적극적 개선 및 조기 사회 복귀 등이다. 수술 후 통합의학적 관점에서 통상적으로 이루어지는 재활치료와 함께 한의치료가 병행 또는 시기에 따라 단독시행되는 경우 상기 치료의 목적을 보다 완전하게 달성할 수 있을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체계적 문헌고찰 방법론 등 근거 중심 방법론에 기반한 방법론을 사용하여 슬관절전치환술 후 환자 관련 한의임상진료지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임상진료지침은 슬관절전치환술 후 환자 진료에 있어 한의사와 환자의 의사결정에 도움이 되고자 하며, 궁극적으로는 한의 진료의 질 향상에 이바지하고자 하였다.
2. 질환 개요
슬관절전치환술 후 한의표준임상진료지침에서의 대상 환자군은 슬관절전치환술 후 모든 환자를 포함한다. 슬관절전치환술 후 회복이 필요한 모든 초기 및 재활기 환자를 대상으로 하며, 수술 직후의 환자부터 수술 이후에 통증, 부종, 기능장애가 지속되고 있거나 빠른 회복을 원하는 모든 환자를 대상으로 한다. 슬관절 관련 수술을 받은 모든 환자군으로 설정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