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idence To Practice

국가한의임상정보포털(NCKM)은
근거와 임상을 연계하는 정보의 중심입니다.

국내

요추 추간판 탈출증 한의표준임상진료지침

1. 배경 및 목적

요추 추간판 탈출증은 한방병원에 내원하는 환자의 다빈도 상병에 해당하며, 이로 인해 발생하는 의료비용 및 사회적 손실이 큰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최근에는 보존적 치료에 대한 비중이 늘어가는 가운데, 환자 선호도가 높은 한의 치료가 국민 건강 증진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체계화되고 질 높은 임 상진료지침의 개발이 절실하다.
본 임상진료지침은 2017년 개발된 요추 추간판 탈출증 한의임상진료지침을 포함한 여러 진료지침 을 검토하고 하이브리드 개작의 방법을 준용하여 보다 객관적이고 활용성이 높은 진료지침을 목표로 개발되었으며, 기존의 지침을 보완하기 위해 확장된 문헌 검색 전략을 수립하고 지침 개발 및 권고안 도출 과정에 GRADE 방법론을 새롭게 적용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본 임상진료지침은 임상 현장에서 한의사와 환자의 의사결정에 도움을 주고, 한의 치료에 대한 환자의 신뢰도를 제고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따라서 요추 추간판 탈출증 대한 임상적 근거를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한의사가 진단과 치료의 측면에서 표준화된 진료를 제공할 수 있도록 내용을 구성했다. 이를 통해 의료서비스의 질 향상을 통한 국민 건강 증진과 더불어 한의 치 료에 대한 객관성과 신뢰도를 높이고자 했다.

2. 질환 개요

본 임상진료지침에서 다루는 요추 추간판 탈출증은 요통과 하지 방사통의 임상 증상을 호소하면서, 이학적 소견 및 영상의학적 소견이 임상 증상과 일치하여 요추 추간판 탈출증으로 진단된 성인 환 자를 대상으로 하며,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 (KCD) 상병으로는 M51(기타 추간판 장애)에 해당한다. 요추 추간판 탈출증 외에 요통을 유발할 수 있는 질환은 본 임상진료지침의 범위가 아니다.
추간판 탈출증은 섬유륜의 파열로 인해 수핵이 파열된 섬유륜 사이를 뚫고 외부로 탈출하는 질환을 말한다.
요추 추간판 탈출증의 주요 증상으로는 요통과 하지 방사통이 있으며, 자극을 받는 신경근의 피부 신경절을 따라 저리고 당기고 욱신거리고 따가운 양상의 통증을 호소한다. 병변이 발생한 신경근이 지배하는 근육에 근력 약화가 동반되기도 한다. 추간판 탈출증은 우선 수핵이 탈출한 범위와 섬유륜의 파열 여부에 따라 분류하고 있다. 팽윤 (Bulging), 돌출 (Protrusion), 탈출 (Extrusion) 및 부골화(Sequestration)로 분류하며, 2개 이상의 형태가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요추 추간판 탈출증을 돌출 부위에 따라 분류할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축상면을 기준으로 분류한다. 요추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가까운 쪽부터 중심부 (central), 후외측 (lateral recess, paracentral, or subarticular), 추간공내 (foraminal), 극외측 (far lateral, extraforaminal), 전방 (anterior)으로 구분한다 .
요추 추간판 탈출증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요추 신경근에 대한 신경학적 평가 및 이학적 검사를 우선 시행해야 한다. 신경근에 따른 근력 및 감각검사, 앙와위 하지 직거상 검사, 라세그 검사(Lasegues ’ test)가 권고된다. 최종적인 진단을 위해서는 영상의학적 검사가 필요하다. 단순 방사선으로는 요추 추간판 탈출증과 요통 및 하지의 신경학적 증상을 유발할 수 있는 타 질환을 정확하게 감별할 수 없다. 따라서 요추 추간판 탈출증의 확진을 위해서는 전산화 단층 촬영 (CT) 이나 자기공명영상(MRI) 과 같은 검사가 필요하다. MRI로 척수 종양이나 감염 여부도 판단할 수 있으며, CT와 비교해 요추 전체의 시상면을 한꺼번에 볼 수 있는 장점이 있어 근래에는 MRI가 추간판 탈출증 진단에 가장 적합한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요추 추간판 탈출증의 한의학적 치료를 위해서 침, 뜸 , 한약, 약침, 추나, 매선, 부항 등의 치료 방법을 활용할 수 있다. 각 치료 방법은 환자의 중증도에 따라 단독 또는 병행하여 활용할 수 있다. 또한, 한의학적 치료 접근 시에는 신허 (腎虛), 담음 (痰飮), 식적 (食積), 좌섬 (挫閃), 어혈 (瘀血), 풍 (風), 한 (寒), 습 (濕), 습열 (濕熱), 기 (氣) 등의 변증에 따라 치료의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요추 추간판 탈출증의 예후는 나이, 증상 지속 기간 및 증상의 중증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임상 증상과 함께 방사선학적 소견을 종합하여 평가해야 한다. 요추 추간판 탈출증의 관리를 위해 서는 급성기에는 침상 안정에 대한 교육이 필수적이며, 급성기 이후에는 좋은 자세에 대한 교육과 함께, 근력 강화 및 스트레칭을 포함한 운동 교육도 필요하다.

UPDATE
GUIDELINE

오늘의 업데이트 자료

    업데이트 내역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