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idence To Practice

국가한의임상정보포털(NCKM)은
근거와 임상을 연계하는 정보의 중심입니다.

국내

갱년기 장애 및 폐경기후 증후군 한의표준임상진료지침

1. 배경 및 목적

갱년기장애 및 폐경기후증후군은 갱년기와 폐경 후에 발생하는 다양한 심신장애를 의미하며, 매우 많은 환자들이 한의의료기관을 이용하고 있으나 아직 적절한 한의임상진료지침이 개발되어 있지 못한 실정이다. 이에 한국한의약진흥원 한의표준임상진료지침 개발사업단과 대한한방부인과학회 한의임상진료지침 개발위원회에서는 갱년기장애 및 폐경기후증후군의 한의임상진료지침 개발의 당위성을 공감하고 이 임상진료지침을 제작하게 되었다.
이 임상진료지침은 현재의 개발 시점에서 접근할 수 있는 최상의 근거를 토대로 임상현장에서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판단과 행위를 결정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하였다.
진료지침에서는 갱년기장애 및 폐경기후증후군의 대표적 급성 증상인 안면홍조와 아급성 증상인 질 위축 및 배뇨장애(요실금, 빈뇨 및 과민성 방광)를 주로 다루고자 한다. 관련 상병은 다음과 같다.
?폐경기 및 여성의 갱년기 상태 N95.1
?노년성 위축성 질염 N95.2
?인공 폐경과 관련된 상태 (인공-폐경기후증후군) N95.3
?기타 명시된 폐경기 및 폐경기전후장애 N95.8
?상세불명의 폐경기 및 폐경기전후장애 N95.9
?복압요실금 혹은 스트레스 요실금 N39.3
?과민성 방광 N32.81

2. 질환 개요

여성의 노화 과정에 따라 난소기능의 감퇴가 진행되면서 월경주기가 사라지며 결국 배란이 이루어지지 않고 월경이 종료된다. 임상적으로는 마지막 월경일로부터 1년이 지난 시점을 폐경이라 하며, 이러한 폐경 전후의 광범위한 기간을 갱년기라 한다. 따라서 갱년기장애 및 폐경기후증후군은 갱년기와 폐경 후에 발생하는 다양한 심신장애를 의미한다. 한의학에서는 서양의학에서의 갱년기장애 및 폐경기후증후군과 같이 하나의 증후군으로 관찰된
것은 찾아보기 힘들지만 이러한 시기에 많이 발생하는 증상과 관련된 내용들로는 ‘천계과기부지방론(天癸過期不止方論)’, ‘연노경수복행(年老經水復行), 연노경단복래(年老經斷復來)’, ‘붕루(崩漏), 노년혈붕(年老血崩)’, ‘장조(臟躁)’, ‘백합병(百合病)’ 등이 있다. 또한 갱년기장애 및 폐경기후증후군의 구체적 증상인 안면홍조는 ‘면열(面熱)’에서, 질 위축은 ‘대하(帶下)’, ‘음통(陰痛)’, ‘음양(陰?)’의 병증에서, 빈뇨 및 요실금은 ‘소변삭(小便數)’, ‘소변빈삭(小便頻數)’, ‘소변불금(小便不禁)’, ‘소변리다(小便利多)’, ‘소변자리(小便自利)’ 등의 병증에서 관련 내용을 찾을 수 있다.

UPDATE
GUIDELINE

오늘의 업데이트 자료

    업데이트 내역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