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 속 한의약
윤두서 자화상으로 본
‘오장육부의 정기가 나타나는 눈’

글. 윤소정(한의사)

윤두서 자화상, 1710년, 종이에 채색, 20.5×38.5cm, 국보 제240호, 고산 윤선도 전시관, 공유마당(CC BY)

마음의 눈으로 꿰뚫어 본 모습

마치 호랑이의 갈기처럼 위엄을 드러내는 수염, 살집이 있는 볼, 굳게 다문 두툼한 입술. 윤두서의 자화상은 강렬하다. 그중에서도 앞을 똑바로 응시하는 눈빛은 그야말로 살아 숨 쉬는 것 같다. 이 그림은 다른 초상화와 달리 한복을 입은 상반신이 눈에 띄지 않는다. 귀도 보이지 않고 그로 인해 얼굴만 특히 부각되어,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두려움마저 들게 한다. 그러나 윤두서가 처음 이 그림을 그렸을 때는 귀와 목, 도포의 옷깃과 주름 선까지 있었다고 한다.
공재 윤두서는 겸재 정선, 현재 심사정과 함께 조선의 삼재로 불린다. 해남 윤 씨 가문으로 고산 윤선도의 증손이자 정약용의 외증조이기도 하다. 명문가의 자손으로 태어났지만 당파 싸움으로 관직에 나서지 못했고, 방대한 독서를 통해 학문과 예술 활동에 전념했다. 그는 탄탄한 철학적 기반을 통해 조선 중기의 회화를 계승하는 동시에, 다음 시대를 예고하는 화풍을 탄생시켜 조선 후기 회화의 새로운 맥을 열었다고 평가받고 있다.
이전에는 인물의 의복이나 머리 모양을 중국의 것을 답습하는 화풍이 주를 이뤘다. 하지만 윤두서는 도사와 동자, 선비가 먼 곳을 바라보는 모습이 아닌, 상투를 튼 남자가 앉아서 짚을 꼬고 치마를 끌어올린 아낙네가 비탈에서 나물을 캐는 현실을 담아냈다. 이러한 화풍은 훗날 풍속화의 대가인 김홍도, 신윤복으로 이어진다.
윤두서는 그림을 그리기 전에 소재를 면밀히 관찰했다. 말을 그릴 때면 몇 년간 마구간을 찾아 종일토록 주목해서 볼 정도였다. 그다음 마음의 눈으로 꿰뚫어 본 모습이 실제 모습과 털끝만큼이라도 다르지 않다고, 의심이 없어진 후에야 붓을 들었다고 한다.

인물의 외면과 내면을 아우르는 초상화

동양화에는 전신(傳神)이라는 말이 있는데, 이는 전신사조(傳神寫照)의 준말로 ‘초상을 그려 그 인물의 정신세계를 전한다’는 뜻이다. 초상화를 그릴 때 인물의 외면뿐 아니라 내면을 함께 전해야 한다는 의미다. 이 말을 처음으로 사용한 동진 시대 화가 고개지는 전신을 이루는 방법으로 이형사신(以形寫神)을 들었다. 이는 ‘형으로 신을 묘사하라’는 뜻으로, 정확한 형태의 표현을 통해 정신을 드러낼 수 있다는 말이다. 이때 고개지가 가장 강조한 것이 얼굴 그리고 눈이었다.
윤두서의 자화상에서도 자신의 정신을 가장 잘 담아낸 부분은 역시 눈이라 할 수 있다. 형형한 빛을 내뿜고 있는 눈동자뿐 아니라 약간 위로 치켜 올라간 눈초리와 눈썹 그리고 눈 아래 두툼한 살과 다크서클까지. 화룡점정(일의 가장 중요한 부분을 마치고 마무리를 완벽하게 끝낸다는 의미이지만, 동양화에서는 눈동자를 그려 넣는 행위를 ‘점정’이라 부르기도 한다)이라는 말처럼 강렬하게 ‘점정’한 눈동자가 ‘눈이 마음을 드러낸다’는 고개지의 전신사조 효과를 여지없이 드러낸다. 윤두서의 초상화는 말 그대로 외모와 성격을 포함한 윤두서라는 인물의 모든 것을 그림 한 장으로 표현했다. 윤두서의 자화상이 조선시대 초상화의 최고 걸작으로 인정받고, 현존하는 국보 중 유일한 초상화인 이유이기도 하다.

눈은 혼백이 드나들고 정신이 생기는 곳

《동의보감》에서는 눈을 이렇게 말한다. “오장육부의 정기는 다 눈으로 올라가기 때문에 장부의 정기가 나타나게 된다. 눈은 혼백이 드나드는 곳이며, 정신이 생기는 곳이다.” 《동의보감》 역시 눈에서 정신을 볼 수 있다고 말한 셈이다. 참고로 여기서 말하는 혼백은 인간에게 깃들어 있는 두 종류의 영혼으로, 인간이 죽은 후 ‘혼’은 그 몸을 빠져나와 하늘로 올라가고, ‘백’은 인간이 죽은 다음에도 몸속에 사는 존재로 묘지에 묻힌 시체와 함께 흙이 된다고 생각했다.
여기에서 더 나아가 《동의보감》은 눈의 각 부분을 장부, 즉 신체 장기와 연결시켰다. 눈 양쪽의 빨간 부분인 눈 구석에 보이는 벌건 핏줄은 심장에 속하는데, 이는 혈관과 통하며 혈(피)의 정기가 모여 있다. 검은자위는 두 부분으로 나눠 보는데, 둥글고 큰 검은자위(홍채)는 간에 속하고, 그보다 안쪽의 중심에 있는 새까만 부분(동공)은 신장에 속한다. 홍채는 힘줄의 정기가 모여 있고, 눈동자(동공)는 뼈의 정기가 모여 있다. 흰자위는 폐에 속하는데 기의 정기가 모여 있고, 눈의 위아래에 있는 눈두덩 살인 눈꺼풀(안검)은 비장에 속해 근육의 정기가 모여 있다.
눈의 아랫부분이 어둡게 보이는 증상인 다크서클을 예로 들어보자. 다크서클의 원인은 다양하지만, 주로 눈 밑에 지방이 쌓여서 피부가 부풀어 오르고 늘어져서 어두워 보이게 된다. 한의학에서 다크서클이 나타나는 눈두덩 살은 오장 중에서 비장과 관계가 있으며, 다크서클의 원인은 담음으로 본다. 이때 담음은 몸 안에 있는 진액(체액)이 제대로 순환하지 못하고 일정한 부위에 몰려서 생긴 병증을 뜻한다. 그리고 담음은 찬 음료를 너무 많이 마시거나 기름진 음식을 과식하는 등 음식으로 인해 생길 때가 많다. 또한 비장의 기능이 약해져 소화를 잘 못 시키고 소화된 음식물이 몸의 구석구석 운반되지 못하고 특정 부분에 쌓이면 이것이 곧 담음이 된다. 따라서 다크서클을 없애기 위해서 비위와 장을 함께 다스린다면 보다 근본적인 치료가 될 수 있다.
한편 2018년 호주와 독일 대학의 공동 연구팀은 참가자 42명의 안구 운동을 AI(인공지능)로 분석한 데이터로 사람의 다섯 가지 성향(신경증, 외향성, 개방성, 원만성, 양심성)을 파악했다. 또한 약 30만 명의 안구 뒤쪽을 AI로 스캔, 분석해 환자의 나이, 혈압, 흡연 여부 등을 추론하고 심장 질환 위험을 측정했다고 한다. 눈은 마음의 창이며, 이를 통해 몸을 살필 수 있다는 《동의보감》의 철학이 서양의 연구결과로도 증명된 셈이다.

윤소정

여해한의원에서 일하고 있다. 의미 있는 의학이자 과학의 가치를 지닌 한의학을 많은 이들과 나누고 싶어, 쉽고 재미있는 한의학을 알리기 위해 노력 중이다. 《중년을 위한 동의보감 이야기》, 《한의대로 가는 길》, 《얼굴과 몸을 살펴 건강을 안다》, 《유비백세》를 집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