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Trying to access array offset on value of type bool in /GCLOUD/theme/202406/_include/sub_title.php on line 6
약재의 발견숙취 해소의 대명사 '헛개나무 열매'
고혈압·고지혈증 예방에도 도움
헛개나무 열매는 숙취 해소제의 대표 원료로 익히 알려져 있다. 그런데 숙취 해소 외에도 항산화와 혈당·혈압 강하, 관절염 완화 등 알려지지 않은 다양한 효능도 지녔다. 연구를 통해 밝혀진 헛개나무 열매의 뛰어난 효능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자.
과거부터 숙취 해소제로 사용된 헛개나무 열매
헛개나무의 열매는 숙취 해소제의 대표 원료로 사용된다. 헛개나무 열매의 약재명인 ‘지구자’는 중국 의서인 <신수본초>에 처음 등재되었다. <동의보감>에는 ‘맛이 달고 성질이 평하다’, ‘주독을 풀고 갈증과 답답함을 멈춰주며 대소변을 잘 통하게 한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조선 세종 27년에 편찬된 의학 사전인 <의방유취>에서는 ‘집 밖에 헛개나무가 있으면 술을 빚어도 술이 익지 않고, 헛개나무 밑에서 술을 담그면 술이 물처럼 되어버린다’라고 적혀 있다. 이 밖에도 <도경본초>, <본초강목>, <성혜방> 등에서도 헛개나무 열매의 효능에 대한 기록을 찾아볼 수 있다. 당시에도 헛개나무 열매가 숙취 해소와 간 기능 개선에 탁월한 효능을 지녔다는 것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숙취 해소와 간 보호 효능으로는 으뜸
오늘날에도 헛개나무 열매는 숙취 해소제의 대표 약재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하지만 숙취 해소제의 첫 시작은 헛개나무 열매가 아니었다. 처음 개발되었을 때는 핵심 원료를 콩에서 추출한 성분에 쌀 배아를 함께 발효한 ‘미배아 발효추출물’을 사용했다. 수차례의 연구 끝에 헛개나무 열매의 숙취 해소 효능을 과학적으로 인증받고 2009년에 본격적으로 헛개나무 열매로 숙취 해소제 음료를 만들기 시작했다.
그렇다면 헛개나무의 숙취 해소 원리는 무엇일까. 술을 마시면 에탄올이 분해되면서 독성물질인 ‘아세트알데히드’가 생성되고 이는 다시 분해 효소에 의해 ‘아세트산’이라는 물질로 분해된다. 이때 생성된 ‘아세트산’이 숙취를 일으키는 주범이다. 이러한 독성물질을 잘 분해하고, 잘 배출하는 것이 중요한데 이를 헛개나무 열매가 돕는 것이다. 헛개나무 열매의 다당류 활성 화합물이 아세트알데히르를 빠르게 분해하고 배출하는 데 도움을 준다. 제약회사와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바이오융합연구소가 진행한 연구에 따르면 실험용 쥐를 대상으로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이 들어간 숙취 음료를 경구 투여한 결과 30분 뒤 혈중 아세트알데히드의 수치는 26% 감소하고, 혈중 알코올 농도는 약 18% 감소하였다. 이를 통해 헛개나무 열매가 숙취 해소에 효능이 있음이 입증되었다.
또한 연구를 통해 헛개나무 열매가 간 보호에도 뛰어난 효과가 있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분당서울대병원의 연구에서는 헛개나무 추출물을 섭취한 간 손상 환자가 그렇지 않은 환자보다 간 손상 정도가 경미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올해 8월 산림청은 헛개나무를 이달의 임산물로 선정하며 헛개나무의 암펠롭신과 호베니틴스라는 물질이 알코올성 간 손상 예방에 효과가 높다고 설명했다.
헛개나무가 지닌 뛰어난 약리 효능
헛개나무의 효능은 여기에서 그치지 않는다. 다양한 연구를 통해 헛개나무에 항고혈압, 고지혈증 예방, 항산화 및 혈당 강하 등의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순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연구팀은 헛개나무 열매 열수추출물과 헛개나무 열매씨 에탄올 추출물의 앤지오텐신 전환효소(ACE)1) 저해율을 측정하였다. 앤지오텐신 전환효소(ACE)는 앤지오텐시노겐을 앤지오텐신으로 전환하는 효소로 혈관을 수축하고 혈압을 내리는 브래디키닌을 분해하여 혈압을 높이는 물질이다. 저해율이 높을수록 항고혈압의 효과가 탁월하며 실험 결과 20~30%라는 유의미한 수치가 나타나 헛개나무가 항고혈압에 좋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김성훈 교수팀과 광동제약의 연구에서는 2주간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을 경구 투여한 쥐에게 고지혈증을 유발시킨 후 혈액을 분석한 결과 콜레스테롤, 인슐린 등의 수치가 낮아졌다. 헛개나무 추출물이 혈액 내 지방구(미세한 지방입자) 생성에 관여하는 단백질 발현은 억제하는 한편, 지방 분해 관련 단백질 발현량은 증가시켜 세포 내 지방 포함 지질의 침착을 감소시킴으로써 고지혈증을 예방하는 데 도움을 준다고 한다. 이외에도 골다공증 예방 및 뼈 강화2), 항산화3), 항종양4), 적응력 강화5), 혈압 강하6) 등의 효능을 입증하는 다양한 연구 결과들이 발표되며 헛개나무 열매의 약리 효과를 뒷받침하고 있다.
차나 장아찌, 꿀로도 활용 가능
헛개나무는 과거에 약방의 처방 없이도 민간에서도 널리 사용되었다. 열매 외에도 목재는 가구로, 뿌리와 잎은 약재나 식음료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헛개나무의 사용법은 다양하다. 가정에서 쉽게 따라 할 수 있는 대표적인 방법은 차를 끓여 마시는 것이다. 잘 건조시킨 잎이나 줄기, 열매 20g을 물 1L에 15~20분간 끓인 후 자기 전과 아침 공복에 마시면 과음으로 인한 속쓰림이 완화된다. 헛개나무 열매는 발효하여 술이나 식초로 만들어 먹어도 좋고 달콤한 맛이 나기에 감미료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헛개나무 잎은 데쳐서 쌈으로 먹거나 장아찌로 만들어 먹어도 된다. 특히 헛개나무는 벌들이 좋아하는 밀원수로 봉목(蜂木)이라고도 불린다. 헛개나무에서 추출한 꿀은 미네랄이 풍부하고 다양한 약리 활성 효과를 지니고 있다고 한다.
다만 헛개나무에는 소량의 독성이 있기에 정량 이상 또는 장기 복용을 하는 것은 좋지 않다. 복통과 설사 등의 부작용이 있어 한의사와의 진찰과 상담 후에 섭취하는 것을 권장한다.
1)혈관을 수축시키고 혈압을 상승시키는 작용을 하는 물질
2)‘Evidence-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재)순천천연물의약소재개발연구센터, 2015.
3)王艷林, 韓鈺, 錢京萍. 枳椇子抗脂質過氧化作用的實驗研究. 中草藥. 1994., 25(6)﹕ 306-307, 316
4)嵇揚. 枳椇子水提取物細胞毒作用與抑留功效的硏究. 中醫藥學刊. 2003., 21(4): 538, 543
5)嵇揚, 王文俊, 孫芳. 枳椇子水提取液對小鼠綜合体能的影響. 中醫藥學報. 2003., 31(3): 22-23
6)嵇揚, 姜春來, 張癸榮. 枳椇子對血壓影響的實驗硏究. 中醫藥學刊. 2003., 21(8): 1258-1259
No. | 제목 | 조회수 |
---|---|---|
11 | 열다 한의약설(說)레어템 한의약으로 이세계 정복 6화 | 0 |
10 | 열다 약재의 발견숙취 해소의 대명사 '헛개나무 열매' 고혈압·고지혈증 예방에도 도움 | 0 |
9 | 열다 세계를 여는 사람들세계의 건강 불평등 해소를 위해 전통의학의 가능성을 열다 | 0 |
8 | 잇다 한방울 톡톡한방울과 황단이가 소개하는 '한의과대학' 1화 | 0 |
7 | 잇다 마음충전소마음의 편안함이 깃드는 순간 한방카페 예담 | 0 |
6 | 잇다 찾아가는 한의약장기요양 재택의료센터 효율성 높이려면 공공기관이 운영해야 | 0 |
5 | 잇다 한의약인(人)한약재 활용, 당뇨와 비만 치료제 개발 | 0 |
4 | 짚다 약이 되는 밥상면역력 보충을 위한 따뜻한 황기들깨파국 | 0 |
3 | 짚다 실록 한의약왕들도 피해 가지 못한 감기, 왕들은 어떻게 치료했을까? | 0 |
2 | 짚다 한문한답독자의 건강 고민을 한의사가 상담해 드립니다! | 0 |
1 | 짚다 튼튼처방전몸과 마음을 함께 다스리는 한의약으로 우울증과 공황장애 치료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