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너
전체 보기
구독신청
지난호
보기
한국한의약진흥원
바로가기

Home
Notice: Trying to access array offset on value of type bool in /GCLOUD/theme/202405/_include/sub_title.php on line 6

약재의 발견쥐오줌풀과 무궁화,
불면증 등 수면장애 해소에 도움

수면장애가 어느새 현대인의 흔한 질병이 되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지난해 수면장애를 겪는 환자의 수가 110만 명에 달하며 이로 인해 병원을 찾는 사람도 30% 증가했다고 한다. 수면 유도제의 장기복용으로 인한 불안감을 덜어줄 수 있는 보다 안전하고 효과적인 치료법은 없을까? 최근 쥐오줌풀과 무궁화가 수면장애 개선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면서 이들 약재가 수면 문제 해결의 새로운 열쇠로 주목받고 있다.

쥐오줌풀, 동서양에서 불면증 치료에 활용

쥐오줌풀은 동서양을 막론하고 약재로 쓰였다. 한의약에서는 길초근(吉草根)이라 불리며, 주로 진정, 불면, 두통 등 신경정신과 질환을 치료하는 약재로 사용되었다. 또한 산통이나 월경불순, 고혈압, 위통 등 다양한 질환에도 효과가 있다고 전해진다.
서양에서는 ‘발레리안(Valerian, 서양쥐오줌풀)’이라 불리며 주로 유럽과 북아시아에서 자생한다. 중추신경계를 진정시키는 효능이 있어 고대 서양의학의 선구자인 히포크라테스도 불면증 치료제로 사용했다고 한다.

오랫동안 진정제와 불면증 치료제로 사용되어 온 쥐오줌풀의 효능은 과학적 연구를 통해 입증되었다. 농촌진흥청은 쥐오줌풀이 불면증에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동물 실험을 진행했다. 쥐오줌풀 추출물을 잠을 자지 못해 스트레스를 받은 실험용 쥐에게 투여한 결과 일반 쥐는 360초 동안만 수면을 유지한 것에 비해 쥐오줌풀 추출물을 투여한 쥐는 수면시간이 670초로 증가했다. 눈 깜빡임 횟수는 17회로, 일반 쥐보다 약 59% 적었다. 쥐오줌풀 추출물을 투여한 쥐는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솔의 혈중 농도가 43% 감소했고 성장 호르몬에 의해 간에서 촉진되는 성장인자(IGF-1) 함량은 57% 증가했다. 이러한 연구 결과로 쥐오줌풀이 불면증 개선에 도움이 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쥐오줌풀 추출물, 비알코올성 지방간 개선에 도움

비알코올성 지방간은 술을 마시지 않아도 복부 비만, 당뇨병, 고지혈증 등과 같은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다. 현재까지 비알코올성 지방간을 치료하는 특효약은 없다. 그런데 최근 한국식품연구원이 쥐오줌풀이 세포의 자가포식 기능인 ‘오토파지’를 활성화하여 비알코올성 지방간을 개선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지방간을 유도한 쥐에게 쥐오줌풀 추출물 투여하자 체중감소는 물론 지방간 크기와 간지질 수치가 감소했다. 또한 오토파지 조절을 통해 지방간의 개선을 뜻하는 LC3 단백질1)과 오토파고좀(autophagosome)2), 라이소좀(lysosome)3)의 활성은 증가했다.

오래 전부터 불면증 개선에 사용된 약재, 무궁화

우리나라를 상징하는 꽃인 무궁화는 오래전부터 약재로 사용되었다. 무궁화는 ‘목근화’라고도 불리며 뿌리와 껍질을 약재로 사용했다. 이를 한의약에서는 ‘목근피’ 또는 ‘천근피’라는 이름으로 부른다.

무궁화는 두통과 이뇨작용, 염증 완화, 피부 질환 등의 효능을 지닌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동의보감>에는 ‘무궁화는 뿌리, 껍질, 꽃잎을 약재로 사용했다. 약성이 순하고 독이 없으며 주로 청열(淸熱), 이습(利濕), 해독(解毒) 효능 및 효과에 사용되었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본초강목>에는 ‘변혈(便血)과 출혈을 동반한 설사를 그치게 하고 痢疾(이질) 후의 발열과 갈증을 그치게 한다. 음료수를 만들어 복용하면 잠을 잘 수 있으며, 볶아서 사용하기도 한다‘라고 적혀 있다. 무궁화는 여성들의 백대하(白帶下)4) 증상과 몸이 붓고 아프거나 옴병을 치료하는 데에도 사용되었다.

현대에 이르러서 과학적 연구를 통해 비만 예방 등 무궁화의 새로운 효능들이 하나둘씩 밝혀지고 있다. 콜라겐 합성 증진과 피부 보호 효능이 있어 화장품 원료로도 활용되고 있다.5) 특히 발효 무궁화는 혈중 콜레스테롤 조성을 개선시켜 심혈관 질환 발병 가능성을 낮춘다.

무궁화 추출물, 스트레스 호로몬 감소에 도움

한국한의학연구원은 2018년부터 무궁화 뿌리껍질 추출물을 통해 스트레스 개선과 신경 보호 효과 연구를 진행해 왔다. 그리고 지난해 무궁화꽃 추출물과 주요성분인 ‘사포나린’이 수면장애 개선 효능이 있음을 밝혔다. 스트레스를 유발한 동물 등 다양한 수면장애 모델에게 무궁화꽃 추출물을 주입했을 때, 수면장애를 유발하는 불안 증상과 스트레스 호르몬은 감소하고 수면 유지 시간은 증가했다. 이 같은 연구 결과는 무궁화가 단순한 전통 약재가 아닌 현대적인 질환인 수면장애와 불면증의 효과적인 치료제로 활용될 가능성을 보여준다.

1)자가포식 정도를 나타내는 표지자

2)자가포식체로, 세포 내 노폐물을 둘러싼 후 리소좀과 융합하여 노폐물을 분해한다.

3)세포소기관의 하나로 세포 내 소화에 관여한다.

4)여성 생식기에서 나오는 분비물

5)양정은 외 8명, 무궁화 꽃 추출물 경구투여에 의한 피부 광노화 및 건조증 개선에 관한 효과, 2021, 한국식품과학회지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