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Trying to access array offset on value of type bool in /GCLOUD/theme/202403/_include/sub_title.php on line 6
마음충전소한의약의 매력이 한곳에 있네!
도심 속 ‘쉼’ 서울한방진흥센터
서울약령시는 국내 한약재의 70%가 유통되는 우리나라 최대 규모의 약재시장이다. 다양한 한약재를 구경하며 골목골목 걷다 보면 번듯한 기와집, 서울한방진흥센터가 나타난다. 약령시 중심에서 한의약의 모든 것을 보여주겠다는 듯 웅장한 모습이다. 서울한방진흥센터는 케이메디(K-medi)를 주제로 특성화된 전시와 교육, 다양한 한방체험을 선사하며 한의약의 가치를 알리고 있다.
일상 속 한의약의 접근성을 높이는 한의약박물관
서울한방진흥센터의 대표 시설인 한의약박물관은 한의약 관련 전시 등을 통해 한의약의 우수성을 알리면서 한방 문화의 계승·보전·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동의보감>, <제중신편> 등 한의약을 다루는 고서적을 전시하여 전통의학의 역사를 소개하는가 하면 우리나라의 전통 약재를 종류별로 전시해 한약재의 효능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이는 널리 백성을 구제하고자 했던 조선시대의 구휼 기관인 보제원의 정신을 이어가는 것이기도 하다. 한의약박물관에서는 서울약령시의 기원과 역사를 알 수 있을 뿐 아니라 약령시 한약재의 안전한 유통 과정도 확인할 수 있다.

몸이 이완되는 시간, 약초 족욕 체험
머리는 차게, 발은 따뜻하게 한다는 두한족열(頭寒足熱)은 동의보감에서 전해지는 건강관리법으로 체온의 균형을 잡아주는 효과가 있다. 서울한방진흥센터에서 즐기는 약초 족욕 체험은 도심에서 멀리 떠나지 않고도 건강한 체험을 누릴 수 있는 좋은 기회다. 전통 한옥의 누각 아래서 몸에 좋은 한방차를 마시고 약쑥, 박하 등의 약재가 들어 있는 따뜻한 물에 발을 담그며 몸의 긴장을 풀어주는 시간은 지친 일상에 힐링을 가져다준다.

건강한 삶의 방식을 위한 보제원
보제원은 병고에 시달리던 백성들에게 의술을 베풀고 가난한 백성들을 구휼하는 기관이었다. 서울한방진흥센터의 한방체험실 보제원은 조상들의 지혜를 현대적으로 이어가고 있는 곳이다. 먼저 덧신을 신고 침대에 누워 온열마사지를 체험한다. 공기 중으로 퍼지는 아로마 향기와 함께 몸이 따뜻해지는 감각을 느끼며 심신을 달랜다. 마사지 시간이 끝나면 혈액이 순환되어 한결 개운해진 느낌을 받을 수 있다. 보제원에서는 한의사가 상주하며 고령자, 외국인, 장애인을 대상으로 건강 상담, 침, 온열찜질 등 한방진료도 제공한다. 진료비는 무료이며 예약제로 운영하고 있다.

건강한 한 끼 식사, 약선 체험
예부터 조상들은 약과 음식은 그 근본이 같다고 생각해 체질에 맞는 식재료와 약재를 배합해 몸에 좋은 음식, 약선(藥膳)을 만들어 왔다. 몸의 증상에 맞는 약선을 꾸준히 섭취함으로써 몸을 보(補)하는 것이다. 약선에는 아프지 않도록, 또 아픈 것을 낫도록 하기 위해서는 잘 먹어야 한다는 약식동원(藥食同源)의 사상이 담겨있다. 서울한방진흥센터에서는 약선 체험 프로그램도 진행하고 있는데, 약령시의 질 좋은 한약재를 이용하여 몸에 좋은 건강식을 직접 만들어 보고 시식할 수 있다.
자극적인 식습관에서 벗어나 건강과 맛, 둘 다 놓치고 싶지 않은 이들에게 제격이다. 원데이 클래스에서는 ‘약선’이 무엇인지 배울 수 있고 약선 요리, 약선 디저트, 약선 도시락, 한방차, 한방다과, 과일수제청 등 개인의 취향에 맞춘 수업도 진행되고 있다. 그 외에도 약선 전문가를 양성하는 자격증 과정이 있는데 희망하는 누구에게나 문이 열려 있다.
손끝으로 매만지고 몸으로 느끼는 한방체험
볼거리나 체험 프로그램 외에도 즐길 거리도 다양하다. 족욕솔트, 인진쑥 입욕제 등 나만의 한방 아이템을 만들어 보는 한방공작소, 조선시대 의관이나 의녀복을 입어보는 전통의상체험 등은 색다른 즐거움을 선사한다.
차 한 잔의 여유를 느끼고 싶다면 한방카페에 들러보자. 쌍화차, 십전대보차, 대추차 등 한방 체험에 어울리는 한방차가 기다리고 있다. 허기를 달래줄 연잎밥 정식, 호박죽, 한과, 떡도 준비되어 있다. 건강한 전통 먹거리가 지친 기운을 활력으로 채워줄 것이다.

문화로 교감하는 한방 북토크
매월 마지막 주 수요일 문화가 있는 날에는 한방 북토크가 열린다. 의학 서적을 저술한 한의사를 직접 만나 계절별 건강관리법, 한의약 역사 등 유용한 정보를 얻어갈 수 있다. 한방 북토크는 선착순 50명을 대상으로 진행하는 무료 강좌이며, 참여를 원하는 경우 동대문구 누리집 구민참여란 또는 '서울시공공서비스예약'을 통해 신청할 수 있다.
No. | 제목 | 조회수 |
---|---|---|
11 | 열다 한의약설(說)레어템 한의약으로 이세계 정복 3화 | 0 |
10 | 열다 약재의 발견가시오갈피, 어디까지 알고 있니? | 0 |
9 | 열다 세계를 여는 사람들언어 장벽·병원 규모보다 중요한 건 자신감! | 0 |
8 | 잇다 한방울 톡톡한방울과 황단이가 소개하는 ‘한의약 체질과 MBTI’ 3화 | 0 |
7 | 잇다 마음충전소한의약의 매력이 한곳에 있네! 도심 속 ‘쉼’ 서울한방진흥센터 | 0 |
6 | 잇다 찾아가는 한의약절차 간소화 등 방문진료사업 개선 필요 | 0 |
5 | 잇다 한의약인(人)최상의 경기력, 한의약 치료에서 | 0 |
4 | 짚다 약이 되는 밥상더위로 지친 몸의 원기를 회복하는 칠향계(七香鷄) | 0 |
3 | 짚다 실록 한의약조선의 왕들을 두려움에 떨게 한 질병, 종기 | 0 |
2 | 짚다 한문한답독자의 건강 고민을 한의사가 상담해 드립니다! | 0 |
1 | 짚다 튼튼처방전발목염좌, 족저근막염은 빠른 치료가 답! | 0 |